>> 침강반응
- 물에 용해성인 항원이 대응한 항체와 반응해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침강물을 만드는 반응을 침강반응이라고 합니다. 작은 항원입자와 항체가 격자와 같이 연결되어 침강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침강반응에 관계되는 항원을 침강소원(precipitinogen)이라 하고, 관계되는 항체를 침강소(precipitin)라고 합니다.
1) 혼합법
- 항원용액과 항혈청을 시험관 내에서 혼합하고 침강물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항원입자가 미세할 경우는 대응하는 항체를 포함하면 혼합액은 흐려지고 육안으로 침강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법이 이용되는 경우는 cardiolipin에 의한 매독진단(VDRA 법), CRP검사, b-lipoprotein 검사 등의 정성법이 있습니다.
2) 중층법
- 모세유리관에 항혈청을 넣고 그 위에 항원액을 조용히 겹쳐서 넣은 후, 20분,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후에 두 경계면에 생기는 백탁의 침강륜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침강륜이 이중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이중륜현상이라 부르고, 독립형과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a) 독립형 : 2종의 항원항체반응이 1개의 시험관 내에서 일어났으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침강륜이 형성된 것
b) 분리형 : 침강입자의 수나 크기가 다른 경우에 무거워진 침강물이 가벼운 부분에서 갈라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3) gel 내 확산법
- agar, 전분, sephadex 등의 지지체 내에서 항원과 항체의 확산을 이용하여 침강대를 형성시키는 방법입니다. 단일확산법, 일차원 이중확산법, 이차원 이중확산법, 일차원 방사면역확산법, 면역전기영동법 등이 있습니다.
4) 면역 전기영동법
- 면역 전기영동법은 1953년 grabar와 williams가 소개한 것으로 ouchterlony 법에 변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기영동법과 면역확산법을 병용함으로 써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성분을 감별할 수 있으며 예민성도 높아 면역학이나 생물학적 연구분야에 많이 이용됩니다. 역가가 안정된 항혈청을 사용해 혈장단백을 분획한 결과 30종 이상의 혈장단백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응집반응
- 현미경으로 충분히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항원입자가 대응하는 항체와 반응하여 응집괴를 만드는 반응을 응집반응이라고 합니다. 응집반응에 관계되는 항원을 응집원(aggltinogen)이라 하며 응집원에는 세포성 항원을 직접 항원으로 사용하거나 항원이나 항체를 흡착시킨 입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응집반응에 관계되는 항체를 응집소(aggltinin)이라 하고 침강반응에 관계되는 항체와 같습니다.
- 완전항체는 침강반응의 격자설과 같이 양쪽 반응군에 항원의 결정군과 결합하여 반응이 차례로 일어나서 점점 큰 덩어리가 됩니다. 불완전 항체는 항원과 결합은 하지만 생리식염수 속에서는 응집을 일으킬 수 없어 항 글로불린 시험 등의 특별한 혈청학적 방법을 사용해야 응집시킬 수 있습니다.
1) 세균 응집반응
- 세균과 대응한 항체가 반응해서 일어나는 응집반응으로 widal test, weil-felix반응 등이 있습니다. 직접 응집반응입니다.
2) 혈구 응집반응
- 혈액의 유형성분과 항체가 반응해서 일어나는 응집반응으로 paul-bunell 반응, 한냉 응집반응, 혈액형 응집반응 등이 있습니다. 직접 응집반응입니다.
3) Latex 응집반응
- 항원이나 항체를 latex 입자에 흡착시켜 행하는 응집반응으로 만성 갑상선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만성관절, r-globuline의 반정량, HCG 검출 등에 사용됩니다.
4) Kaolin 응집반응
- kaolin 입자에 cardiolipin, lecithin 항원을 흡착시켜 매독 항체를 검출하거나 결핵균 지질을 흡착시켜 결핵균에 대한 항체 검출에 사용됩니다.
5) 감자적혈구 응집반응
- sheep cell을 토끼에 면역시켜 얻은 면역혈청에 sheep cell을 넣어 응집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결합시킨 후 만성 관절류머티즘 환자의 혈청에 넣어주면 응집이 일어납니다.
6) 면역 부착반응
- 항원과 항체와 보체와 사람의 적혈구를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방치하면 항원, 항체, 보체의 복합체가 사람의 적혈구에 부착하여 가벼운 응집반응이 일어납니다.
7) 교착반응
- 대응한 항체와 결합한 적혈구가 그 자신이 응집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에 있다가도 여기에 불활성화된 소 혈청이나 말 혈청을 보체로 가하면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 항 globulin을 사용하는 적혈구 응집반응의 종류
1) 직접 항 globulin 시험
- 적혈구나 혈소판 등의 유형항원에 불완전 항체가 결합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환자의 적혈구를 생리식염수로 씻은 다음 anti-human globulin혈청으로 반응시키면 불완전 항체 결합에 의해 응집이 일어납니다.
2) 간접 항 globulin 시험
- 환자의 혈청 중에 불완전 항체가 산출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환자의 혈청과 적혈구, 혈소판 등의 유형물질을 시험관에 넣어 반응시킨 다음 이 유형항원과 불완전 항체의 결합여부를 직접 globulin 시험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합니다. 이때 환자의 혈청 중 불완전 항체가 존재하다면 유형항원에 감작되고 이 유형항원은 항 globulin 시험에 의해 응집됩니다.
3) 단백분해 효소처리 적혈구에 의한 간접 globulin 시험
- 환자의 혈청 중 미량의 불완전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4) 항 globulin 소비시험
- erythrocyte, leukocyte, platelet 등의 유형항원에 불완전 항체의 결합여부나, 환자 혈청 중에 유형항원에 대한 불완전 항체가 산출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5)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
- 적혈구가 겹쳐서 연결되어 약한 응집 반응처럼 보이는 것 현상을 연전현상이라고 합니다.
'면역혈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반응성 단백검사의 종류와 의의 (0) | 2023.03.28 |
---|---|
Virus 감염증에 대한 검사의 종류와 의의 (0) | 2023.03.27 |
세균 감염증에 대한 검사의 종류와 의의 (0) | 2023.03.26 |
항원(Antigen)과 항체(Antibody)의 의미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