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면역혈청

Virus 감염증에 대한 검사의 종류와 의의

by 해피올리브 2023. 3. 27.

>> 면역전기영동법

 - 면역전기영동법은 Ouchterlony의 자연확산법과 전기영동법을 병용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위에 1%의 한천 gel로 평판을 만들고 적당한 간격을 두구 구멍을 만든 다음 항-HBs와 환자의 혈청을 적당한 간격의 우물에 넣고 직류전기를 통하여 영동 시킵니다. 그러면 전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항체의 주 성분인 r-globulin은 음극의 방향으로 항원을 형성하고 단백질은 양극의 방향으로 영동 되는데, 이때 대응하는 항원과 항체가 만나면 서로 반응하여 입자가 커지므로 이동하지 못하고 침강대를 형성합니다. 이 방법은 30~60분이면 반응이 완료되므로 신속하고 예민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Reserve passive hemagglutination test (RPHA 법)

 - 간접적 혈구 응집반응법은 HBs 항원을 몰모트에 면역시켜 항체가가 최고도에 도달했을 때 그 혈액을 채혈하여 HBs항체를 순수하게 정제하고, 이것을 닭의 적혈구에 감작시켜 HBs항체와 환자 혈청의 HBs항원이 결합함으로써 적혈구의 응집을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법은 특이성이 높고 검사방법이 간편하며 반응시간이 짧아 1시간 후면 육안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HBs 항체 검출법

 - 이 검사법은 환자의 혈청 내에 생성된 HBs항체를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순수하게 정제한 HBs 항원을 60도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이 가열항원에 formalin을 최종농도 200배가 되도록 첨가하여 완전히 불활성화시킵니다. 이 항원을 고정한 닭 적혈구에 흡착시켜 만듭니다. HBs 항원 감작 닭 적혈구 부유액에 환자 혈청을 가하면 혈청 내에 존재한 HBs항체와 적혈구 표면에 감작된 HBs항원이 반응하여 혈구가 응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항체 검출법은 감염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으나 다른 방법보다 간편하고 시간이 절약되며 특이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방사면역 측정법

  - Guinea pig에 면역시켜 생성한 anti-HBs가 코팅된 plastic bead에 가검혈청 또는 혈장을 가해주고 일정시간 반응시키면 혈청 중에 존재하는 HBs항원은 항체에 반응하게 됩니다. 그 후  bead를 세척한 후 125I labeled anti-HBs 항체를 가해주면 항체+항원+항체의 샌드위치 상태가 만들어지고, 이 bead에 HBs항원이 결합하게 됩니다. 이 bead를 counting tube에 옮겨 gamma scintillation counter에 의해 1분 동안 측정 하여 counter rate를 결정함으로써 HBsAg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효소면역 분석법

 - hepatitis B virus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효소면역 분석법은 그중 하나입니다. 효소면역분석법으로 검출되는 종류는 HbsAg, HbeAg, anti-Hbs, anti-Hbe, anti-HBc-IgG, anti-HBc-IgM 등이 있습니다. 이 물질들은 검사방법이 모두 동일하고 항원 또는 항체와 해석방법에만 차이가 있습니다. 검체로 사용되는 혈청 또는 혈장은 7일 동안 냉장보관이 가능하며, 그 이상 보관 시에는 -20도씨의 냉동실에 보관합니다. 검체에 미립자, 적혈구 또는 혼탁함이 보일 경우 검사 전 원심분리나 여과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HBV-DNA probe

 -  HBV-DNA probe 검사는 혈청 중의 B형 virus DNA 존재여부 및 증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로 HBV-DNA 존재에 대해 재조합된 cDNA탐지자(probe)를 이용하여 immuno chemi Iuminoassay 법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심한 충격이나 오염되지 않은 혈액을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 하여 혈청을 분리합니다. 분리된 혈청은 냉장이나 냉동보관하고 심한 용혈이나 지혈증이 있는 혈청과 3회 이상 냉동 해동을 반복한 혈청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EIA 법에 의한 AIDS의 정성검사

  - T-Lymphocyte cell에서 생성된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를 분해시켜 비활성화시킨 다음 bead에 coated 시킵니다. HIV 성분이 코팅된 bead에 가검혈청을 가하면 가검혈청 중에 존재하는 HIV에 대한 항체는 고상의 bead에 존재하는 HIV 항원과 결합하게 됩니다. 미반응 물질을 세척으로 제거하고 anti-human IgG-peroxidase를 가하여 2차로 반응시킵니다. 미결합 anti-human IgG-peroxidase를 세척하고 난 다음 과산화수소를 포함한 OPD 기질용액을 가하고 반응시키면 bead에 결합되어 있는 항체의 양에 따라 yellow-orange 색이 생성됩니다. 일정시간 반응 후 산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발색의 정도를 493nm에서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거나 자동 효소 면역 측정기로 측정합니다.

 

>> western bloting 법에 이한 HIV 항체의 확인 검사

 -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단백을 nitrocellulose 막에 전사한 후 각종의 방법으로 전사된 단백성분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분석법은 먼저 Southern에 의해 DNA의 해석에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을 단백에 이용한 것이 western-bloting법입니다. HIV 유래의 단백항원을 검출해서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뒤 nitrocellulose 막에 전사시킵니다. 이것과 검체를 반응시키면 HIV 항체가 있는 경우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킵니다. 아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단백을 세척하여 제거한 후 효소로 표지한 항사람 IgG를 반응시키고 다시 효소기질을 가해서 발색시키면 대응하는 항체가 존재하는 항원 band만 가시적으로 검출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