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 항생제의 역사와 종류에 대하여 >>항생제는 우리에게 어떤 존재일까요? 항생제는 우리에게 어떤 존재일까요? 약인가 독인가? 아니면 그냥 감기 치료제 같은 것인가?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항생제를 먹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흔하게 쓰이는 항생제이지만 정작 정확한 의미나 기원 등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약인 항생제이지만, 오남용 사례가 많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항생제의 올바른 복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항생제란 무엇인가요? -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는 물질입니다. 즉,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만든 약제입니다. 이러한 항생제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 2023. 3. 26. 세균 감염증에 대한 검사의 종류와 의의 >>Widal 반응 - 장티푸스와 파라티프스의 진단에 사용되는 세균 응집반응으로 이 반응에 사용하는 항원은 Salmonella typhi O와 H, Salmonella paratyphi의 A, B, O, H가 있습니다. salmonella typhi와 salmonella paratyphi C는 협막성항원인 Vi 항원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H항원에 대한 항체 가는 예방접종에 의해서도 높게 나타나고 Vi 항체 가는 보균자일 경우에 높게 나타나므로 O항원에 대한 항체가의 측정에 비해 진단적인 값어치가 적기 때문에 현재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Weil-Felix 반응 - 리켓치아성 질환(rickettsial disease)의 경우에 이 weil-felix반응이 많이 이용되나 발진티프스와 발진열의 .. 2023. 3. 26. 항원-항체 반응의 종류 >> 침강반응 - 물에 용해성인 항원이 대응한 항체와 반응해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침강물을 만드는 반응을 침강반응이라고 합니다. 작은 항원입자와 항체가 격자와 같이 연결되어 침강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침강반응에 관계되는 항원을 침강소원(precipitinogen)이라 하고, 관계되는 항체를 침강소(precipitin)라고 합니다. 1) 혼합법 - 항원용액과 항혈청을 시험관 내에서 혼합하고 침강물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항원입자가 미세할 경우는 대응하는 항체를 포함하면 혼합액은 흐려지고 육안으로 침강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법이 이용되는 경우는 cardiolipin에 의한 매독진단(VDRA 법), CRP검사, b-lipoprotein 검사 등의 정성법이 있습니다. 2) 중층법 - .. 2023. 3. 25. 항원(Antigen)과 항체(Antibody)의 의미 >>항원이란? - 어떤 물질이 이종동물의 체내에 피하나 혈관을 통해 들어갔을 때, 그 동물의 체내에서 체액성면역이나 세포성면역의 면역원성(immunogenicity)을 유도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항원결정부위(epitope) - 항체들은 항원분자의 특정한 부위에 결합합니다. 이런 항원분자상 항체가 결합하는 부위를 항원결정부위라고 부릅니다. - 항원결정부위는 에피토프(epitope)라고도 부르며, 항체분자 부위는 파라토프(paratope)라고 부릅니다. - 한 개의 항원분자에는 한 개 이상의 에피토프가 있으며 합텐을 운반체에 결합시키는 것은 운반체로 이용한 항원분자에 항원결정부위를 하나 더 붙여준 결과를 가져옵니다. - 대부분의 항원결정부위는 입체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신선한 단백질로 면역시켜 얻은 항체.. 2023. 3. 2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