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와 흡연,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젊은 층의 고혈압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혈압검사 중 24시간 혈압측정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4시간 혈압측정검사(Ambl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BPM)
24시간 혈압측정검사는 병원에서 고정된 장비로 혈압을 체크하는 것과 달리 이동용 혈압계를 착용하고 일상생활 및 수면 중의 혈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동 혈압 모니터링이라고도 하며, 자동 공기주입기와 혈압 기록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혈압 측정 주기를 등록하여 매 등록된 시간마다 자동으로 혈압을 측정하기 때문에 하루 동안의 혈압의 변화와 평균 혈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혈압측정검사는 주로 백의 고혈압이나 가면 고혈압의 진단, 약물치료에도 혈압조절이 안 되는 불응성 고혈압 환자의 모니터링, 심혈관질환 및 표적장기손상 예측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4시간 혈압측정검사 진단 기준
24시간 혈압측정검사의 수치는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보다 평균 10% 정도 낮게 나타납니다. 24시간 평균혈압이 125/80mmHg 이상이거나, 낮(활동시간) 평균 혈압이 135/85mmHg 이상이거나, 수면 시 평균 혈압이 120/75mmHg 이상일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24시간 혈압측정검사의 활용 범위
24시간 혈압측정검사로는 백의 고혈압 및 가면 고혈압의 진단, 심혈관질환 예측, 혈압약제 유용성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백의 고혈압
- 백의 고혈압이란 실제 혈압이 정상이지만 병원에서 측정할 때 긴장에 의해 혈압이 높게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고혈압 환자의 약 15~20% 정도는 백의 고혈압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백의 고혈압 환자를 고혈압으로 진단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측정 전 커피 및 흡연 등을 금지하고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하며 혈압을 측정합니다. 2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였을 때 5mmHg 이상 차이가 나면 재측정 하거나 24시간 혈압측정기를 달아 일상생활 중 평균혈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가면 고혈압
- 가면 고혈압이란 백의 고혈압과는 반대되는 증상으로, 고혈압 환자이지만 병원에서 측정할 때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진단이 쉽지 않습니다. 혈압측정 결과와 환자의 임상증상이 다를 경우 24시간 혈압측정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심혈관질환 및 표적장기 손상 예측
-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을 할 때보다 수면상태일 때 혈압은 10~20mmHg 낮아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혈압 강하가 나타나지 않는 사람은 야간에도 높은 혈압에 의하여 혈관에 지속적으로 부담을 주어 심혈관계를 자극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발생과 고혈압에 의한 표적 장기 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혈압이 밤사이 낮아지지 않는 비강하 환자는 일반인보다 좌심실 비대, 무증상 뇌졸중 등 합병증이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혈압약제의 유용성 평가
- 고혈압의 합병증은 혈압의 변동폭이 큰 환자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압약제의 선택 시 혈압의 강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24시간 혈압검사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고혈압은 혈관에 무리를 주어 심/뇌혈관 질환, 심부전, 뇌출혈, 뇌졸중 등의 합병증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약제복용이 중요합니다. 약제가 환자에게 알맞은지를 평가하거나, 일반 혈압검사로는 확인할 수 없는 백의고혈압, 가면 고혈압을 진단하거나, 심혈관질환의 예측을 위해서는 24시간 혈압검사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혈압, 당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질환관리 - 안과질환 예방을 위한 안압검사, 안저검사 (0) | 2023.06.09 |
---|---|
마른당뇨의 종류, 증상, 운동, 식단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26 |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0) | 2023.04.06 |
당뇨환자의 고지혈증, 지방간 발생기전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3 |
당뇨 환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가지 (0) | 2023.03.30 |